Home / Sitemap / Join      
 
 
 
 
 
 
[학술회의]"조선시대 ‘公’담론의 새로운 모색"
Name  한국역사연구   (owl-lsh@hanmail.net)
Date  2013년 09월 23일
File 1  학술회의 안내문.jpg
File 2  학술회의 안내문.pdf





한국역사연구회/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공동주최 학술회의

"조선시대 ‘公’담론의 새로운 모색"

모시는 글

한국역사연구회('公'과 '私' 정치문화사반, 중세 2분과)와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은 돌아오는 2013년 9월 28일 토요일 오후 1시부터 "조선시대 ‘公’담론의 새로운 모색"이라는 주제로 성균관대학교 600주년기념관 6층 첨단강의실에서 공동 학술회의를 진행합니다.

조선시대 ‘公’ 담론에 대한 검토는 왕조의 지향성을 비롯해 왕조의 성격을 해명하는데 매우 중요한 주제라 할 것입니다. 公ㆍ私란 용어는 표현 방식은 다르지만 역사적으로나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던 용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경우 公ㆍ私가 독립적인 용어로 사용되기도 했지만 간혹 수식어가 붙어 公共性, 公論 등 특정 영역을 지칭하거나 특정의 의식을 드러내기도 하였습니다. 본 학술회의에서는 바로 이 조선시대 전반에 걸친 ‘공’ 담론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여러 선생님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일시 : 2013년 9월 28일(토) 오후 13시~18시

● 장소 : 성균관대학교 600주년기념관 6층 첨단강의실

● 주최 : 한국역사연구회ㆍ성균관대동아시아학술원 공동주최

● 후원 : 한국연구재단

<학술회의 일정>

● 개회사 : 성균관대동아시아학술원 원장 신승운ㆍ한국역사연구회 회장 하일식

● 학술발표 일정
제 1발표(13:00~13:25) : 고려~조선초 공・사전의 개념과 王土思想
·························································································· 이상국(아주대)
제 2발표(13:25~13:50) : 조선전기 ‘公道’의 용례와 지향성
·························································································· 이근호(한국학중앙연구원)

휴식 : 13:50~14:00

제 3발표(14:00~14:25) : 18세기 ‘公’담론의 구조와 그 정치․경제적 함의
·························································································· 송양섭(충남대)
제 4발표(14:25~14:50) : 조선후기 수령의 지방재정 운영과 公私 관념
·························································································· 권기중(한성대)

휴식 : 14:50~15:00

제 5발표(15:00~15:25) : 19세기 垂簾聽政의 公과 私
·························································································· 임혜련(숙명여대)
제 6발표(15:25~15:50) : 한말 儒林의 公私 인식 - 公德을 중심으로 -
·························································································· 정욱재(우송대)

좌석 정리 및 휴식 : 15:50~16:00

종합토론 : 16:00~18:00      사 회 : 손병규(성균관대)
토론자 : 이정호(고려대), 송웅섭(서울대), 김백철(서울대), 문용식(전주대), 정해은(한국학중앙연구원), 노관범(한림대)



[초대-136회 금요통일포럼] 금강산 관광재개와 남북교류협력 (9.
[성명] 박근혜정권은 반북대결정책을 연북화해정책으로 전환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