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7 문화사회아카데미 동계강좌(1) <한국의 맑스주의 지형 연구-5개의 고원>
한국에서 맑스주의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 20여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아울러 2007년은 맑스주의 연구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맑스의 <자본론>이 국내에 출간된 지 20년이 되는 해로서, 한국 맑스주의 연구의 다양한 흐름과 갈래를 재점검하는 자리를 마련하는 일은 여러모로 의미가 있을 것입니다. 한국 맑스주의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과 진보운동이 위기로 인해 한동안 위축되었다가 2003년 국내 진보적인 학자들이 대거 참여했던 ‘맑스 코뮤날레’ 행사를 기점으로 다시 활발한 논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에 <(사)문화사회연구소>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맑스주의 연구자들과 이들이 고민하고 있는 현실운동을 다각적으로 조명해보는 <한국의 맑스주의 지형 연구-5개의 고원> 강좌를 개설하게 되었습니다.
제1강 1. 8(월) 맑스주의와 ‘자본론’ 김수행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 제2강 1. 10(수) 한국사회와 자본의 세계화 김수행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 제3강 1. 15(월) 맑스주의와 한국사회 김세균 (서울대 정치학과 교수) 제4강 1. 17(수) 사회변혁과 맑스주의의 과제 김세균 (서울대 정치학과 교수) 제5강 1. 22(월) 맑스주의의 전화와 생태적 문화사회론 심광현 (한예종 영상원 교수) 제6강 1. 24(수) 문화사회 구성을 위한 새로운 사회/문화운동 심광현 (한예종 영상원 교수) 제7강 1. 29(월) 자율주의 이론이란 무엇인가 조정환 (‘자율평론’ 편집위원) 제8강 1. 31(수) 다중의 출현과 진보주의 운동 조정환 (‘자율평론’ 편집위원) 제9강 2. 5(월) 꼬뮨주의와 특이성 이진경 (서울산업대 교수) 제10강 2. 7(수) 생명의 권리와 생명정치학 이진경 (서울산업대 교수)
일시: 2007년 1월 8일-2월 07일 오후 7시 장소: 대학로 ‘연낙재’(02-741-2808) 무용자료관 3층(4호선 혜화역 1번 출구/약도 참고) 수강료: 10만원(문화연대 및 문화사회연구소 회원 30% 할인, 가입과 동시에 신청 가능) 입금계좌: 하나은행 162-910007-32504(예금주: 사단법인 문화사회연구소) 문의 및 신청: 02-745-1603 / cultures21@naver.com 홈페이지: www.kccs.or.kr
※ 수강을 원하시는 분은 계좌 입금 후 연구소로 전화를 하거나 홈페이지 게시판에 입금 여부를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혹은 먼저 신청 후에 입금을 하셔도 좋습니다. 강좌 개강 전날까지 신청을 받으며, 선착순 30명 마감입니다.
|